Art Trends

고전주의
14 ~
18세기
국제 고딕 – 르네상스 
(14세기~15세기)
International Gothic 이 양식은 14세기 전반 아비뇽 교황청에 시모네 마르티니가 초빙되어 전파케 된 시에나파와 북방의 고딕 기법이 교류하여, 후기 고딕의 정교한 화려성이나 사실성과 시에나파의 정서 표현이나 설화성(說話性)이 혼합되었다. 아비뇽에 관계한 각지의 성직자에 의해 이 양식은 전유럽에 보급되어, 14세기로부터 15세기에 걸쳐 유행하였다. 랭브르 형제, 케른파의 로호나, 체코파의 화가들, 이탈리아의 우첼로, 안젤리코 등은 이 영향을 받은 화가들이다. 이 경향은 조각에도 파급되었다.
매너리즘 (16세기) Mannerism 르네상스 미술의 방식이나 형식을 계승하되 자신만의 독특한 양식(매너 혹은 스타일)에 따라 예술작품을 구현한 예술 사조. 이탈리아 1520년대 르네상스 전성기(High Renaissance)의 후기에서 시작해서 1600년대 바로크가 시작하기 전까지 지속된 유럽 회화, 조각, 건축과 장식 예술의 시기를 지칭. 양식적으로는 개인적 접근의 다양성이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라파엘로, 그리고 초기의 미켈란젤로에게 조화로운 이상의 영향을 받고 반응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적이면서 인공적인(자연적인 것과 반대되는) 특징이 두드러진다. 이 용어는 1500년경에서 1530년경까지 북유럽에서 활동한 후기 고딕 화가들에게도 사용되며, 특히 안트베르펜 매너리스트들과 17세기 문학(특히 시)의 흐름에서 사용된다.
바로크 (17세기) Baroque 서양 예술사에서 시대를 구분하는 용어이자 예술 사조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어원은 ‘일그러진 진주’를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pérola barroca의 프랑스 전사인 Baroque에서 유래했다. barocco 라는 이탈리아어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는데, 뜻은 왜곡된 삼단논법, 혹은 불협화음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소리를 의미한다. 바로크의 예술적 표현 양식은 르네상스 이후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서양의 미술, 음악, 건축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양식의 변천에 따라 바로크의 시대는 전기, 중기 그리고 후기로 나뉜다. 예술적 경향에서 보면 후기 바로크 시대는 곧 로코코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라고 볼 수 있다. 유명한 음악도 많이 있다.예를 들어 미뉴에트 같은 음악이 있다.
배경으론, 반종교 개혁운동 과 부르주아 계급의 성장으로 인한 정치 체계의 변화로 종교개혁으로 인해 약화된 지상의 가치, 인간이 지닌 감정, 상상력 등에 대한 가치를 반종교적인 입장이면서도 또,  수공업과 상업에 바탕을 둔 부르주아들이 과거 귀족들의 경제적 수준에 버금가는 부를 이루었고, 이들이 절대 군주를 지지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화려하고 장식적인 바로크 예술 형태를 권력의 상징으로 간주하였다.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18세기)
Rococo 18세기 프랑스에서 생겨난 예술형식이다. 어원은 프랑스어 rocaille(조개무늬 장식, 자갈)에서 왔다.
로코코는 바로크 시대의 호방한 취향을 이어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 건축의 유행을 말한다. 바로크 양식이 수정, 약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로코코는 왕실예술이 아니라 귀족과 부르주아의 예술이다. 다시 말하자면, 유희와 쾌락의 추구에 몰두해 있던 루이 14세 사후,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귀족계급이 추구한, 사치스럽고 우아한 성격 및 유희적이고 변덕스러운 매력을, 그러나 동시에 부드럽고, 내면적인 성격을 가진 사교계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귀족계급의 주거환경을 장식하기 위해 에로틱한 주제나 아늑함과 감미로움이 추구되었고 개인의 감성적 체험을 표출하는 소품위주로 제작되었다. 또한 로코코에서는 신와저리가 많이 유행하였다.
  신고전주의 neo-classicism 18세기 말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발전한 미술 사조다.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 문화의 고전적 예술로부터 영감을 받은 장식, 시각예술, 문학, 연극, 음악, 건축을 이른다. 18세기 계몽주의와 비슷한 시기에 일어나 19세기 초까지 이어졌으며, 후에 낭만주의와 대립한다. 건축에서는 19세기, 20세기를 넘어 21세기까지 양식이 이어져 오고 있다.
  낭만주의 romanticism 18 ~ 19세기 계몽주의와 신고전주의에 반대하여 나타난 낭만주의는 로맨티시즘(Romanticism)이라는 단어의 기원에서 알 수 있듯이 비현실적인, 지나치게 환상적이라는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성과 합리, 절대적인 것에 대해 거부한 사조였다. 낭만주의의 첫 주자는 계몽주의 시대에 독일의 루소라고 불리던 헤르더이다. 헤르더는 감정과 감성, 민족역사를 강조하였으며, 그의 저서 "인류 역사의 철학적 고찰"은 후에 러셀과 헤겔로 이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느낌과 감정을 강조하였으며, 계몽주의들이 설파 했던 이성에 대해 강한 회의를 품었지만, 낭만주의자들은 결코 이성이라는 것을 무시하거나 거부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과거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의미로 파악 되었던 이성을 역사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수정하여 고려하였다. 또한 이 낭만주의는 개성을 강조하고, 사회를 과거와 달리 하나의 “유기체”로 보았다. 탄생과 성장, 쇠퇴와 소멸을 겪는 것은 사회의 한 특징이라 말하였으며, 이것은 후에 《문명 형태학》(아놀드 토인비)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현대 자유주의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독일의 슐라이에마허에게 큰 영향을 주어서 자신의 신학방법으로 감정(Gefühl, feeling)을 기독교 종교의 본질로 보았다. 19세기 중엽에 성립된 로맨티시즘은 산업 혁명으로 인한 사회 변화를 따르기 보다는 과거의 중세 봉건사회나 이국적인 것에서 이상을 찾고자 했다. 그 주요한 동기는 사회의 분열과 이기주의의 만연을 부정하고, 중세에서 절대적인 힘을 갖고 있던 공동체를 다시 일으키고 싶다는 원망(願望)이다. 때로는 중세에서 전인격적(全人格的)인 완성이 가능했었다고 해서 그것을 다시 일으키려고 한다. 후자는 개인을 절대화하는 것에 의해 현실적으로는 니힐리즘으로 발전해 간다. 이에 대해 전자로부터는 사회를 개인보다 우월한 것으로 만드는 이데올로기가 전개되는 것이다. 19세기 중엽에 그것은 사회유기체론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상은 사회를 절대화하려는 내셔널리즘으로 그 맥락이 이어지게 된다.
19세기 사실주의 Realism 사실주의를 광의로 해석하면 아리스토텔레스가 "예술은 자연을 모방한다"라고 말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예술의 근본적 요소라고 생각된다. 다만 무엇을 ‘사실’로 볼것이냐에 따라 사실주의도 얼마든지 다른 모습이 될 수 있다. 과학적인 ‘사실’과, 사회적 ‘현실’은 둘 다 영어로는 리얼(real)로 표기되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1850년에 쿠르베가 유명한 대작 《오르낭의 매장(埋葬)》(A Burial At Ornans)을 발표했을 때, 당시의 비평은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더럽고 괴상한 것을 최악의 추악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꾸짖었다. 다음 1855년에 쿠르베는 특설 개인전 화랑에서 《화가의 아틀리에》를 공개했는데, 그는 회장 입구에 ‘리얼리즘’이라고 써 붙였다. 서양화의 묘사는 예전부터 철저한 사실을 기본으로 한 것이었으나 특히 사실주의라고 불렸으니만큼 그것은 철저한 성격을 갖는 것이었다. 그것은 사물을 깨끗하게 하고 미화하여 그리는 고전파나, 정열이나 문학적 매력을 구하는 낭만파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쿠르베는 천사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그리지 않는다고 했으며, 그의 눈앞에 보이는 현실을 고의로 아름답게 그리는 것이 아니고, 아무런 용서도 없이 현실 그대로 나타낼 것을 주장하고 있다. 그것은 형상에도 색채에도 가장 정확한 관찰을 하여 현실의 재현을 철저하게 할 뿐이다. 더구나 소재도 철저하여 종래의 미술이 외면하던 사회의 가난한 일면이나 노동의 가혹한 실체를 진실로 당면한 사실로서, 박력 있는 묘사로 드러내고 있다. 현실을 보이는 그대로 그리는 표현은 17세기 네덜란드 회화에서도 명백하지만, 쿠르베 작품은 유례없는 박진력을 낳기 때문에 반대측에 있는 사람은 자연을 추하게 만든다고까지 떠들어댔다. 더구나 당시는 시민계급 외에 민중의 입장이 강화되는 시대로서, 쿠르베는 가장 급격한 사회 사상가의 한 사람으로서 깊이 투쟁의 형식까지 취하여 사실주의를 진전시켰다.
라파엘전파 Pre-Raphaelite Brotherhood

Pre-Raphaelites
라파엘로와 미켈란젤로의 뒤를 이은 매너리즘의 화가들이 처음 수용했던 기계적인 예술 접근에 대한 거부 즉,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화풍을 되살리는 것이 이 예술가 집단의 목적이었다. 그 구성원들은 특히 라파엘 회화의 고전적인 자세와 우아한 구성이 아카데믹 예술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와전된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이것이 ”Pre-Raphaelite”라는 이름의 유래이다. 라파엘 전파는 특히 그들이 "슬로슈아 경"이라고 부른 영국 왕립 예술 아카데미의 창립자인 조슈아 레이놀즈 경의 영향에 반대했다. 윌리엄 마이클 로세티에 따르면 라파엘 전파에게 있어서 단어 sloshy는 "anything lax or scamped in the process of painting … and hence … any thing or person of a commonplace or conventional kind"를 의미했다. 라파엘 전파는 1400년대 이탈리아 예술의 강렬한 색감, 복합적인 구성과 풍부한 디테일로의 회귀를 추구했으며 영국 비평가 존 러스킨의 종교적인 바탕의 글에 영향을 받았다.
이 집단은 역사 회화와 재현, 자연의 모방이라는 개념을 예술의 주된 목적으로 받아들였다. 라파엘 전파는 스스로를 개혁 운동이라고 정의했고, 독창적인 예술을 그려냈으며 정기 간행 잡지 The Germ을 출판하여 그들의 의견을 알렸다. 라파엘 전파의 논쟁은 Pre-Raphaelite Journal에 기록되어있다.
아카데미 예술 Académie des beaux-arts 아카데믹 미술 또는 아카데미시즘, 아카데미즘은 유럽의 미술 학교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회화나 조각의 양식을 말한다. 특히 아카데믹 예술은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의 운동을 행한 프랑스의 미술 아카데미의 기준의 영향을 받은 미술과 미술가를 말하며, 이 두 양식을 통합하려는 노력으로 두 운동을 추종하는 미술을 말하기도 한다. 윌리암 아돌프 부그로, 한스 마카르트의 작품이 이러한 양식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미술 아카데미(프랑스어: Académie des beaux-arts)는 프랑스 학술원 (Institut de France)를 구성하는 5개의 아카데미 중 하나이다.
인상주의 인상주의(impressionism, 印象主義) 또는 인상파(印象派)는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거부하고 색채·색조·질감 자체에 관심을 두는 미술 사조이다. 인상주의를 추구한 화가들을 인상파라고 하는데, 이들은 빛과 함께 시시각각으로 움직이는 색채의 변화 속에서 자연을 묘사하고, 색채나 색조의 순간적 효과를 이용하여 눈에 보이는 세계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려 하였다. 1860년대 파리의 미술가들이 주도하기 시작했다. 인상주의라는 이름은 클로드 모네의 유화 《인상, 해돋이》(Impression, Sunrise)에서 비롯되었는데, 비평가 루이 르로이가 《Le Charivari》지에 기고한 비판에서 처음으로 쓰였었다. 인상주의 미술은 인상주의 음악과 인상주의 문학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인상주의가 태동할 당시는 현대와 달라서 관영(官營)인 단 하나의 전람회가 있었는데, 그것을 살롱이라고 불렀다. 살롱은 한 해에 한 번만 개최하는 단 하나의 발표기관이었다. 19세기 후반에는 화단도 각 경향으로 나뉘었기 때문에 그 대립이 현저해지고, 살롱 중에서 보수적인 세력은 1863년에 혁신적인 작품을 대량으로 낙선시켰던 것이다. 그 중 마네나 미국의 화가 휘슬러가 있었는데, 낙선 화가는 그것을 부당히 여겨 정부에 강요, 별도로 낙선 화가 전람회를 개최했다. 그때 마네가 출품한 《풀밭 위의 점심식사》는 누구에게나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그것은 숲속에 피크닉을 간 파리 사람들을 그렸는데, 묘사가 참신함에도 불구하고 그 화면에서 특히 여성을 나체로 그렸기 때문에 마네는 풍속을 문란케 한다고 공격을 받았다.

이어 1865년 마네는 살롱에 그의 대표작인 《올랭피아》를 출품했는데, 이것도 미풍을 해친다는 이유에서 이전보다 더욱 공격을 받았다. 마네는 공격을 피하여 일시 에스파냐로 여행을 했는데, 귀국하자 그 과감성에 끌려 주위에 청년화가들이 모여들었다. 그 모임은 1866년부터 몽마르트르의 크리시가에 있는 카페 게르보아에서 열렸는데, 문인 졸라도 참가하여 성의 있는 토론이 반복되었다. 모임은 보불전쟁으로 중단되었지만 전후에도 계속하여 모이는 화가들끼리 인상파의 전람회가 열렸다.

피사로, 모네, 시슬레, 드가, 세잔, 르누아르, 모리조, 기요맹 등은 1874년 4월에, 파리 카프신가의 전 나다르 사진관을 회장(會場)으로 하여 첫 번째 전시회를 열었다. 회장에 우연히 모네의 풍경화인 《인상, 해돋이》가 있어, 그것을 들어 잡지 《샤리바리》의 비평가 르로아가 그저 인상을 그리는 일당이라는 데에서, 인상파라고 야유한 연유로 인하여 그 이름이 널리 퍼졌다. 인상파의 전시회는 1886년 제8회까지 계속되는데, 최초에는 압도적인 매도(罵倒)로 시작하여 화가의 고투(苦鬪)가 계속되었다. 이윽고 고갱도 인상파 전시회에 참가했다.

인상주의라는 이름은 1874년 4월 25일 미술 비평가 르로이가 파리의 전시회에서 비판적인 뜻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하며, 오늘날 서양 미술사에서 19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사조로 쓰이고 있다. 인상주의는 빛의 변화에 따른 순간적인 형태의 변화를 포착하려는 미술양식을 말하며 빛에 따라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깊이없는 사물의 인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빛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사물의 모습을 포착해내기 위해 야외에서 그림을 그렸으며 색채 표현에 있어서 시각적인 착시효과를 이용한 색채분할법을 사용하였다. 이와같은 인상주의는 회화에서의 재현적인 사실적 묘사가 더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음을 입증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상주의는 서양 미술사에서 대중에게 가장 많이 알려지고 애호되는 화풍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상주의가 대중에게 커다란 호감을 주게 된 중요한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꼽힌다.

인상주의 미술은 전통적인 그림의 주제와 기교에 얽매이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그림의 동기와 대상을 찾았다.
인상주의 미술은 사실주의 미술처럼 도시의 일상뿐만 아니라 프랑스 시골의, 특히 프로방스 지방의 햇살 아래의 수시로 변화 하는 풍경을 현장에서 직접 화폭에 음악으로써 생동감과 친근감을 주게 된다.
인상주의 화가는 빛과 색의 조화, 대상과 면의 구성을 나름대로 실험하였으며, 이는 고갱과 고흐, 세잔 등의 탈인상주의로 이어져 프랑스의 야수파와 독일의 표현주의등 현대 미술의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후기(탈)인상주의 Post-Impressionism 탈인상주의라는 용어는 영국의 예술비평가 로저 프라이가, 프랑스의 새로운 미술을 영국에 소개하기 위해 기획한 전시회 《마네와 탈인상주의자들》(Manet and the Post-Impressionists)(1910~11)이라는 이름에서 유래한다. 이 전시회 판매자는 마네 외에도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르동, 폴 세잔느, 앙리 마티스, 앙드레 드랭, 블라맹크 등 신인상파 화가, 야수파 화가 등 작풍도 다양했다. 인상파 화가들이 빠져 있는 것은 프라이가 이러한 화가들은 인상파와는 다른 세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었기 때문이다. 프라이는 당초 ‘인상주의자’(Impressionist)라는 명칭을 제안했으나, 참가자들의 반대로 ‘탈인상주의자’(Post-Impressionist)라는 이름을 확정했다.

그들은 인상파의 영향을 받아 그것을 출발점으로 하면서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엄격한 형태의 부활, 원시적인 소재와 강렬한 색채의 도입 등 자신들만의 특징을 낳았고, 20세기 미술의 선구가 되었다. 형태뿐만 아니라 색채에서도, 사상에서도 19세기의 예술과 야수파, 표현주의, 입체파 등 20세기 미술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출처 필요]

또한 문헌에 따라서는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를 배치하여, 인상파 화가로 소개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것은 포스트 인상파와 같은 시기(1880년대)에 인상파 기법에서 벗어나 자신의 작풍을 모색하고 있었다는 공통점에 주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 그러한 기준으로 신인상파로 분류된 조르주 쇠라를 포함 할 수 있다.

‘인상파’라는 명칭은 일본의 백화파에 의해 번역되어 오늘 날에 이르고 있다. 그들이 펴낸 잡지인 1912년 1월호 《백화》(白樺)라는 잡지에서 야나기 무네요시가 소개하면서 혁명의 화가라는 글에서 ‘후기 인상파’라고 번역한 것이다.
신인상주의 Neo-impressionism 신인상주의(新印象主義, Neo-impressionism)는 19세기 말의 프랑스 회화 운동 또는 양식의 하나로 인상주의를 계승하면서, 이에 이론과 과학성의 뒷받침을 부여하려는 예술 사조이다. 신인상파라고도 한다.

슈블르, 샤를 앙리(Charles Henry, 1859∼1926) 등의 광학이론이나 색채론의 영향을 받았으며, 분할된 균일한 필촉(筆觸)에 의하여 시각혼합을 철저히 하는 것을 기술상의 최대 특색으로 한다. 1886년 최후의 인상파전(展) 때에 처음으로 명료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쇠라와 시냐크가 그 대표적인 존재이다. 앙그랑(Charles Angrand), 뤼스(Maximilien Luce), 크로스(Henri-Edmond Cross), 뒤부아 피에(Albert Dubois-Pillet) 등도 이 파의 화가이고 또 카미유 피사로, 폴 고갱, 빈센트 반 고흐 등은 일시적으로 이 파를 겪어 나갔다. 과학성과 이론성의 추구라는 특색 때문에 20세기의 입체파나 미래파에 영향을 끼쳤다.

신인상파는 인상파의 색채에 대한 이론을 한층 과학적으로 명백히 한 것인데, 쇠라를 중심으로 극도로 이론적인 제작을 하고 있다. 그것은 인상파가 눈에만 의지하는 색채표현을 과학적으로 발전시킨 것인데, 1886년 제8회 인상파 전시회에 쇠라의 작품이 발표됨으로써 또다시 놀라게 했다. 그것은 당시 과학자에 의하여 색채과학의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한 데에도 영향을 받았지만, 쇠라와 병행하여 시냐크도 같은 연구에 몰두했다.

이 새로운 방법은 색채 과학의 원칙을 크게 앞으로 내세워 순수한 색을 주장, 색과 색을 혼합하는 일을 피했다. 또한 해조(諧調)·조화를 중요시하여 광도의 배합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실제적 화법으로서는 보통 터치로 그리는 것이 아니고 총체적으로 색을 작은 점으로 하고, 색의 강약의 이동에서 거기에 일반적으로는 혼합하여 내던 색을 거꾸로 자잘한 점으로 본래 색을 놓고, 거리를 두고 보면 사람의 눈은 그것을 자연히 혼색처럼 받아들인다는 방법 등을 실시했다. 그 세미한 점으로 그리는 방법을 ‘점묘(點描)’라고 부르고 있는데 문제점은, 이론적으로는 명확하지만 기계적인 구성이 되는 것으로 일층 깊은 내용이나 복잡한 아름다움을 대할 적에 그 방법의 단조성(單調性)은 방해되기 쉽다는 데 있다.
분할주의 Divisionism (Astethics) 시냑에 의하면 분할주의는 미학적 이념의 표상이며
점묘주의 Pointillism (technic) 시냑에 의하면 점묘주의는 기법적 차원의 용어로서 규정되고 있다
구획주의 (클로와조니즘) cloisonnisme cloisonnisme (구획주의)
강렬한 선으로 화면을 구획지어  대담하게 평면적인 느낌을 주는 화법
중세 유럽의 에나멜 기법인 ‘칠보’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클루아조네 cloisonne’에서 유래했다
1888 퐁타방 지방에서 머물며 작업하던 에밀 베르나르Écmile Bernard가 처음구사했고, 폴 고갱이 즐겨 활용했다.
인상주의와 자연주의의 단편화된 테크닉에 반발해 시도되었다.

회화표현에 있어서 모티브를 단순화해서 파악, 그 윤곽선을 강조해서 그리는 수법. 주로 고갱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주의 화가들에게 적용된다.
〈클루아종> (cloison[프])의 원뜻은 ‘구분(區分)’의 뜻으로 미술용어로서는 중세의 스테인드 글라스나 에마유에서 각각 색의 부분을 ‘구분’하는 경계선을 말한다
이로부터 19세기 말, 인상주의에 의한 형태의 해체에 반발한 퐁 타방파(派)나 나비파 화가들의 굵은 윤곽선에 의한 장식적인 화풍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 배후에는 원근의 표현을 배제하고 회화를 2차적인 것으로 환원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
고갱, 세뤼제, 앙크탕, 모리스 드니, 뷔야르 등의 작품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종합주의 Synthetism 2차원의 평면을 강조하는 회화기법(기억에 의존).- 1880년대에 폴 고갱, 에밀 베르나르, 루이 앙크탱 등의 화가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인상주의 화풍 및 이론과 결별한 그들의 회화 양식은 자연을 직접 보고 그리기보다는 기억에 의존하여 작업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종합주의라는 용어는 고갱이 처음 쓰기 시작했는데, 이 말은 주제의 느낌이나 기본 개념을 형식(색면과 선)과 종합시키는 미술양식을 의미했다. 고갱은 1886년까지 인상주의자들과 함께 작품을 전시했으나, 그들처럼 윤곽이 뚜렷한 형태나 구성요소들을 무시하지는 않았다. 그는 자연에서 빛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전념한 인상주의자들의 방식이 한계가 있고 피상적이며 생각이나 착상을 소홀히 여긴 것이라고 느꼈다.

명암이나 입체감의 표현이 없는 순수한 색면과 주된 몇몇 선들을 토대로 구성요소들을 거의 2차원적으로 배열한 새로운 장식적 회화 양식을 추구하던 그는 1886, 1888년 여름에 퐁타방·르풀뒤 등지에서 베르나르를 비롯한 여러 추종자들과 함께 지내면서, 거기에서 종합주의 그룹을 결성했다.

이 새로운 양식의 예로 고갱의 〈설교 후의 환영 Vision After the Sermon〉(1888, 에든버러의 스코틀랜드 국립미술관)을 들 수 있다. 이 큰 그림의 아래쪽에는 교회를 나서는 농촌 여인들이 있으며, 그 위에는 그날의 설교 주제였던 천사와 씨름하는 야곱이 그려져 있다.

고갱은 일상 세계와 공상의 세계를 한 장면 속에 결합시키려 한 것이다. 아래쪽의 여인들은 명암이나 원근감의 표현 없이 평면적인 색면들로 형상화되어 있고, 강렬한 색채의 커다란 면들에서는 명암을 찾아볼 수 없다. 구성은 매우 강렬해서 일상과 공상의 두 세계를 하나의 시각적 경험으로 융합시켜 놓는다.

베르나르와 앙크탱은 자신들의 회화기법을 일컬어 ‘클루아조니즘'(Cloisonnism)이라 했는데, 순수색의 넓은 면과 굵직한 검정 윤곽선으로 생기는 효과가 중세의 클루아조네(칸막이된) 에나멜 기법과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베르나르는 중세미술뿐만 아니라 일본 판화(우키요에[浮世繪])와 원시미술에도 관심을 가졌다. 종합주의는 1890년대 결성된 나비파에 영향을 주었으며, 한때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에서도 그 영향을 엿볼 수 있다.
나비파 Nabis 프랑스어 로 les nabi, 히브리어로 예언자라는 의미인 ‘nabi;나비’
나비파(Nabis 派, 프랑스어: les nabis)는 고갱에게 영향을 받은 폴 세뤼지에(Louis-Paul-Henri Sérusier, 1863~1927)가 파리의 젊은 화가들을 모아 이룬 집단이다.
인상주의에 염증을 느낀 젊고 반항적인 화가들이 주였다.

히브리어로 예언자라는 의미인 ‘나비’는 자신들의 미술이 과거의 종교의 기능을 대신한다는 뜻으로 시인 카자리스(Henri Cazalis)가 붙였다.  나비파의 대부분은 파리의 콩도르쎄 고등학교와 세뤼지에가 간사로 있던 아케데미 쥘리앙을 다니던 이들이었다. 반항적인 젊은이였던 이들은 보라리 가(街)의 카페에 모여 고갱의 작품경향을 토론하였고 제식적인 저녁식사를 가졌으며
세뤼지에의 작업실을 ‘사원’으로 불렀다.
인상파가 말 그대로 자연의 인상 – 미묘한 색채 – 을 분석해 묘사하는 것이라면 나비파는 작가 자신의 내면을 분석하여 화면을 완성해 나아갔다.  그렇기 때문에 나비파 작품 안의 형태나 색채는 현실과는 상관없이 작가의 해석으로 좌우됐다.

하지만 1900년 이후 나비파의 화가들은 나비파라는 흐름 속에서도 자신만의 강한 개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류가 줄어들었고,  1903년 나비파를 후원해 주던 〈라르뷔 블랑슈(La Revue Blanche)〉가 폐간되자 해체되었다.
상징주의 (예술) Symbolism 상징주의(象徵主義)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예술 사조이다. 자연주의나 고답파(高踏派)에 대해서, 주관을 강조하고 정조(情調)를 상징화하여 표현하는 것을 주안(主眼)으로 했다. 《악의 꽃》의 보들레르를 비롯하여, 베를렌, 랭보 등이 대표적인 시인이며, 마테를링크, 릴케, 예이츠, 와일드 등 20세기의 주요한 문학자는 여기에서 탄생되었다.

미술에서 상징주의는 상징주의 시인의 영향 아래 조금 늦게 나타난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지향했으나, 문예의 경우처럼 명확한 주장이나 운동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직접적으로는 비평가 오리에(Georges Albert Aurier, 1865∼1892)의 논평 <회화에 있어서의 상징주의>(1891)에서 고갱을 중심으로 한 퐁 타방 파(이 파는 오리에의 논평에 의해 종합주의라고도 불리었다)와 고갱이 타히티로 떠난 뒤 오리에의 주장에 가까운 나비파를 가리킨다. 그러나 그후의 논평에서는 고갱 등의 음악적·장식적인 구성을 목표로 한 작품보다도 도리어 신비적인 주제를 취급하는 작품을 포함한다. 퓌비스 드샤반느, 르동, 귀스타브 모로, 카리에르, 앙소르, 클림트 등이 대표자로 간주된다.
허드슨 리버파
20세기 모더니즘
입체파
표현주의
추상
뮌헨 신미술가 협회
청기사파
다리파
다다이즘
야수파
신야수파
아르누보 Louis Comfort Tiffany (February 18, 1848 – January 17, 1933)
1837년 25세의 찰스 루이스 티파니(Charles Lewis Tiffany)와 존 버넷 영(John B.Young) 문구점


루이 컴포트 티파니(Louis Comfort Tiffany, 1848년 2월 18일 – 1933년 1월 17일)는 미국의 예술가이자 디자이너로 장식 예술 분야에서 일했으며 스테인드 글라스 작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아르누보[1] 및 미학 운동과 가장 관련이 있는 미국 예술가입니다. 그는 Lockwood de Forest, Candace Wheeler 및 Samuel Colman을 포함하는 Associated Artists로 알려진 유명한 디자이너 협업과 제휴했습니다.
티파니는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과 램프, 유리 모자이크, 불어 유리, 도자기, 보석, 에나멜, 금속 세공품을 디자인했습니다.[2]
그는 아버지 Charles Lewis Tiffany가 설립한 가족 회사인 Tiffany & Co.의 첫 번째 디자인 디렉터였습니다.
아르누보(프랑스어: Art Nouveau, IPA: [aʁ nuvo])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성행했던 유럽의 예술 사조로서 프랑스어로 "새로운 미술"을 뜻한다. 독일어권에서는 잡지 ‘유겐트’의 이름을 따서 유겐트 양식(유겐트슈틸)이라고도 불린다. 아르누보 양식이 최고조를 이룬 시기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반(1890~1905)이다. 아르누보는 19세기 아카데미 예술의 반작용으로 자연물, 특히 꽃이나 식물 덩굴에서 영감을 받은 장식적인 곡선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아르누보는 순수 예술(특히 회화와 조각)과 응용 예술 사이의 전통적인 구분을 무너뜨리는 것을 목표로 시작된 운동이다. 미적으로 다양하고 국제적일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디자인, 그래픽 아트, 가구, 유리 예술, 직물, 도자기, 보석 및 금속 공예 등 예술분야 전반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또한 프랑스 건축가 외젠 비올레 르 뒤크 (Eugène Viollet-le-Duc)와 영국 미술 평론가 존 러스킨(John Ruskin)과 같은 19세기의 중요한 예술 이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영국 아르누보는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와 미술공예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최초의 아르누보 주택과 실내 장식은 1890년대 브뤼셀에서 지어진 폴 앙카르(Paul Hankar) , 앙리 반 데 벨데의 건축물, 특히 1893년에 완공된 빅토르 오르타의 작품이나 Hôtel Tassel의 건축 및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주요하게 나타났다. 빅토르 오르타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 건축가 엑토르 기마르는 새로운 파리 메트로 입구를 아르누보 양식으로 지었다. 알폰스 무하의 포스터와 르네 랄리크(René Lalique)와 에밀 갈리에(Émile Gallé)의 유리제품 등 그래픽 아트에도 등장했다. 아르누보 양식은 루이 티파니(Louis Tiffany)와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개한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 절정에 달했다.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시작된 아르누보는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가 국가마다 조금씩 다른 특성을 지니며 다른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수도뿐만 아니라 급성장하는 도시(이탈리아의 토리노와 팔레르모, 스코틀랜드의 글래스고, 독일의 뮌헨과 다름슈타트)와 독립 운동의 중심지(핀란드 헬싱키)등에서도 나타났다.

Art Nouveau라는 용어는 1880년대 벨기에에서 발행된 잡지 L’Art Moderne에서 예술을 통한 개혁을 추구하는 20명의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프랑스-독일 미술상인 지그프리드 빙(Siegfried Bing)이 1895년 파리에서 개장한 자신의 미술상점 이름을 메종 드 아르 누보(House of the New Art)라고 붙이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아르누보라는 프랑스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프랑스에서는 종종 모던 스타일(영어: modern style / 영국 용어 Modern Style 과 유사)또는 1900 스타일(영어: style 1900)이라는 용어로 불렸다.  때때로 소설가 쥘 베른의 이름을 따서 쥘 베른 스타일(Style Jules Verne)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아트 벨 에포크 또는 아트 핀 드 시에클(Art Fin de siécle)로도 불렸다.

독일에서는 유겐트슈틸(Jugendstil)로 불렸는데 이는 1896년 게오르크 히르트가 창간한 잡지 ‘유겐트'(Jugend: Münchner illustrierte Wochenschrift für Kunst und Leben, 젊음: 뮌헨의 아트와 라이프스타일을 다룬 주간 잡지)에서 유래한 것이다. 유겐트는 독일에서 아르 누보 스타일을 널리 알리고 촉진했던 주 요소였다. 비록 20세기 초에 유겐트슈틸이라는 명칭은 식물 스타일의 타이포그래피나 유겐트 잡지로부터 영향을 받은 듯한 그래픽 아트에만 적용되었지만, 결국 일반적인 독일어 용어로 정착됐으며 독일어권 국가 및 네덜란드, 중앙 유럽, 동유럽, 발트해 지역, 북유럽에서 통용되는 보편적인 명칭이 되었다. 아르누보의 범유럽적 성격은 그 다양한 명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벨기에 : 아르누보를 비판하는 사람들에 의해 위플래시 스타일("Whiplash style"), 장어 스타일("Eel style") 또는 국수 스타일("Noodle style")로 불리기도 했다.
영국 : 아르누보 외에도 모던 스타일 또는 글래스고 학교의 작품 때문에 글래스고 스타일("Glasgow style")로 알려져 있었다. 모던이라는 용어는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의 모데나스에서도 사용된다.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 아르누보는 인기 있는 독일 예술 잡지 인 웰렌스틸("Wave style")과 릴렌스틸("Lily style")의 이름을 따서 레폼스틸("Reform style") 또는 쥬겐스틸("Youth style")로 불렸다. 현재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에서는 Jugend, 에스토니아에서는 Juugend, 라트비아에서는 Jugendstils로 불린다.
덴마크 : 스코엔비르케(Skönvirke, "Work of beauty")로 알려져 있다.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와 그 주변 국가들에서는 비엔나 분리주의 예술가들의 이름을 따, 비엔나 분리주의(Hungarian: szecesszió, Czech: secese, Slovak: secesia, Polish: secesja) 또는 분리주의("Secession style")로 불린다.
이탈리아 : 섬유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던 런던 리버티 앤 컴퍼니("London’s Liberty & Co")의 설립자 아서 라센비("Arthur LasenLiberty")의 이름을 따서 종종 리버티 스타일("Liberty style")로 불렸다. 때때로 Stile floreale("Floral style") 또는 Arte nuova("New style")로 불리기도 했다.
미국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Louis Comfort Tiffany")의 영향을 받아 티파니 스타일("Tiffany style")로 불리기도 했다.
네덜란드 : ‘Nieuwe Kunst'("New Art") 또는 ‘Nieuwe Stijl'("New style")로 불린다.
포르투갈 : Arte nova로 불린다.
스페인 : Modernismo, Modernisme (in Catalan), Arte joven ("Young Art")로 불린다.
스위스 : Style Sapin ("Fir tree style")로 불린다
핀란드 : Kalevala Style로 불린다.
러시아 : Модерн ("Modern"), 회화의 경우는 Мир Искусства (Mir Iskusstva, "World of Art")으로 불린다.
일본 : Shiro-Uma로 불린다.
루마니아 : Arta Nouă ("New Art") 또는 Noul Stil ("New Style")로 불린다.
바우하우스
신조형주의
아르데코
미래주의
절대주의
초현실주의
아웃사이더 아트
색면파
추상표현주의
팝 아트
최소주의
해프닝
플럭서스
설치예술
포스트모더니즘
개념 미술
대지 예술
행위 예술
옵티컬아트(옵 아트 ) Optical Art(OP Art)  옵 아트(Optical Art)는 기하학적 형태와 미묘한 색채관계, 원근법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눈에 착시를 일으켜 환상을 보이게 하는 과학적 예술 종류로 구성주의적 추상미술과는 달리 사상이나 정서와는 무관하게 원근법상의 착시나 색채의 장력(張力)을 통하여 순수한 시각상의 효과를 추구한다. 옵아트는 빛·색·형태를 통하여 평면적 그림이 아닌 역동적인 입체를 보여준다. 그리고 옵 아트는 옵 티컬아트의 약자이다. 즉, 시각적인 미술의 약자인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예술과는 달리 지나치게 지적이고 조직적이며 차가운 느낌을 주고, 사상이나 정서를 벗어나 착시와 색채의 변화 등의 과학적 요소를 기본으로 하므로 자연과학에 더 가까운 예술이다. 옵아트는 당시 디자인계나 패션계에 영향을 끼쳤으나 사고와 정서를 배제한 계산된 예술로서 일반 대중으로부터 지지를 받지는 못했다.
옵아트는 시각적인 예술을 뜻하며 특히 착시에 의해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는 작품을 가리키기 때문에 키네틱 아트와도 관련된다. 앨버스, 바자렐리를 선구로 하고 대표작가로는 라일리, 세질리, 아누스키위츠(Richard Anuszkiewicz, 1930∼), 아감 등이 있다. 1965년의 ‘감응하는 눈(眼) 전(展)'(윌리엄 세이츠 William C.Seitz 기획, 뉴욕 근대미술관)에 의하여 알려지게 되었다.
비디오 아트
신표현주의
로브로우 예술 운동
미디어 아트
영 브리티시 아티스츠
스터키즘
21세기 뉴미디어 아트
시스템 아트
극사실주의
슈퍼플랫 Superflat 슈퍼플랫(Superflat)은 미술가 무라카미 다카시가 주도한, 일본 만화와 에니메(Anime)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사조이다.  웨스트할리우드, 미니애폴리스, 시애틀을 순회한, 무라카미의 2001년 전시의 이름이기도 하다. 
"슈퍼플랫"은 무라카미 다카시가 일본의 시각 예술, 애니메이션, 대중 문화 및 순수 예술의 평평한 모습, 그리고 "일본 소비 문화의 얄팍한 공허함"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단어이다. 슈퍼플랫은 "소플로 슈퍼플랫(SoFlo Superflat)"이라는 분파를 만든 미국 미술가들에 의해 수용되었다.

"슈퍼플랫" 미술가들에는 아오시마 치호(青島千穂), 쿠니타카 마호미, 미치마 사유리, 나라 요시토모, 타카노 아야(タカノ綾), 그리고 무라카미 다카시가 있다. 또한, 특히 모리모토 코지(森本晃司)와, 에이리언9과 밀크 클로짓(ミルククローゼット)의 작가 토미자와 히토시 등 몇몇 아니메 애니메이터들과 만화가들의 작품들도 슈퍼플랫 전시회에서 전시되었다.

무라카미는 슈퍼플랫을 넓은 범의에서 정의하기 때문에, 주제는 매우 다양하다. 몇몇 작품들은 전후 일본 문화에 만연한 소비주의와 성적 페티시즘에 대해 탐구한다. 이것은 마치노 헨마루(町野変丸)의 작품 등에 의해 패러디된 로리콘을 포함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그로테스크하거나 왜곡된 이미지를 통한 오타쿠적 성에 대한 탐구이다. 다른 작품들은 성장에 대한 공포를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나라 요시토모의 작품은 종종 일본 전통 우키요에에 그려진 어린이의 낙서를 다룬다. 몇몇 작품들은 또한 오타쿠와 전후 일본 문화 전반을 포괄하는 사회 구조와 잠재적 욕망에 집중한다. 무라카미는 안노 히데아키 같은 감독들의 영향을 받았다.

오타쿠를 불온하게 보는 것은 무라카미 다카시가 주도하는 카이카이키키 내 미술가들의 특징이 아니다; 극초기의 슈퍼플랫 전시에 참여한 가장 주요한 미술가들 중 하나인 BOME는, 유명한 오타쿠 피규어 조각가이며, 실존하는 미소녀 아니메의 등장 인물들을 기반으로 한 그의 작품들은 카이카이키키 갤러리에서의 개인전을 포함한 여러 미술관들에서 전시되었다. 미술가 Mr.는 자칭 로리콘이며 자신의 작품들을 문화적 비판이 아니라 그 자신의 개인적 환상으로 본다.
로리콘(일본어: ロリコン, 영어: lolicon)은 (현실 혹의 가공의) 미성년 소녀에 대한 성적인 관심을 의미하는 롤리타 컴플렉스(Lolita complex)의 일본식 줄임말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해 로리타 콤플렉스는 소수의 사람이 가지는 소아성애자를 의미하는 반면 로리콘은 소아성애증 자체를 가리킨다는 차이가 있다.

 


sinaburoSCIENCE IN NATURE ART
AND BUSINESS WEB
EDUCATION ROUNDTABLE
Charity is a registered 501(c)(3) nonprofit Status.